댓글 쓰기 권한이 없습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
|||||||||||||||||||||||||||||||||||||||||||||||||||||||||||||||||
|
|||||||||||||||||||||||||||||||||||||||||||||||||||||||||||||||||
|
|||||||||||||||||||||||||||||||||||||||||||||||||||||||||||||||||
|
2025.05.10 01:49
세르비아, 들끓는 민심... 학생 주도 반부패 시위, 조기 총선 요구 봇물
조회 수 2 추천 수 0 댓글 0
노비사드 철도역 붕괴 참사 촉매제... 수십만 명 거리로, 정권 압박 수위↑
세르비아 전역이 심각한 정치적 격랑에 휩싸였다. 지난해 11월 노비사드에서 발생한 철도역 캐노피 붕괴 사고로 촉발된 학생들의 반부패 시위가 석 달 넘게 이어지는 가운데, 이들은 급기야 국회 해산과 조기 총선을 강력하게 요구하고 나섰다. 16명의 소중한 생명을 앗아간 이 비극적인 사건은 단순한 사고가 아닌, 만연한 정부 부패와 안전 불감증이 빚어낸 인재라는 학생들의 강한 믿음이 이번 시위의 근본적인 동력으로 작용하고 있다.
주로 대학생들이 주축이 된 이번 시위는 특정 지도부나 대변인 없이 자발적으로 조직되어 더욱 주목받고 있다. 이들은 소셜 미디어 플랫폼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시위 계획을 공유하고 시민들의 참여를 독려하며, 주요 의사 결정은 각 학부의 전체 회의를 통해 이루어지는 수평적인 구조를 특징으로 한다.
시위 초기 학생들은 노비사드 참사에 대한 철저한 진상 규명과 책임자 처벌, 시위대 공격 가해자 기소, 부당하게 체포된 학생들의 석방, 그리고 시위 중 경찰의 음향 대포 사용 의혹에 대한 조사를 촉구했다. 그러나 시간이 흐르면서 이들의 분노는 단순한 사건 수습을 넘어, 국가 기관 깊숙이 뿌리내린 부패 구조 자체를 혁파해야 한다는 절박한 요구로 발전했다. 이에 따라 학생들은 현 국회의 즉각적인 해산과 조기 총선 실시를 핵심 요구 사항으로 내세우며 정권 교체를 강력하게 주장하고 있다.
학생들의 외침은 점차 사회 각계각층의 공감을 얻으며 거대한 물결로 확산되고 있다. 연일 베오그라드를 비롯한 주요 도시의 거리에는 수십만 명의 시민들이 쏟아져 나와 “부패 없는 정의로운 사회”를 외치고 있으며, 이는 1990년대 이후 세르비아에서 가장 큰 규모의 시위로 기록되고 있다. 심지어 노동조합까지 시위에 동참하며 학생들의 주장에 힘을 보태고 있는 상황이다.
이처럼 거센 민심의 압박에도 불구하고 알렉산다르 부치치 대통령 정부는 조기 총선 요구에 대해 강경한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일부 정부 관계자들은 조기 총선이 “국가적 재앙”을 초래할 것이라고 주장하는가 하면, 다른 인사들은 시위대를 외부 세력의 사주를 받은 “색깔 혁명” 시도 세력으로 매도하며 강경 진압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
한편, 정치 전문가들은 이번 세르비아 시위 사태를 동남 유럽 지역의 민주주의 후퇴를 보여주는 심각한 징후로 분석하고 있다. 프리덤 하우스 등의 국제 인권 단체들은 이미 세르비아의 정치적 권리와 시민 자유가 지속적으로 하락하고 있으며, 집권 여당의 언론 장악과 사법부 독립성 침해 등 민주주의의 근간을 흔드는 요소들이 존재한다고 경고해 왔다. 전문가들은 세르비아 정부가 이러한 시민들의 목소리를 무겁게 받아들이고, 현명한 판단을 내려 정치적 위기를 해결해야 한다고 촉구하고 있다.
세르비아의 앞날은 예측하기 어려운 상황으로 치닫고 있다. 학생들을 중심으로 들불처럼 번지고 있는 시민들의 분노가 과연 정치권에 어떤 변화를 가져올지 국제 사회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
연락처 | 회사소개 | 광고문의 | Copyright(저작권) |